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isgusting
- 분류
- KNNImputer
- 기본가정
- 디시전트리
- 오류
- 회귀모형
- sql
- 언어분석
- 정규성
- 워홀
- 선형성
- 등분산검정
- 이변량 분석
- 기술통계분석
- 이상치
- VIF
- 등분산성
- R
- cook's distance
- 예측
- contrasts can be applied only to factors with 2 or more levels
- 회귀분석
- 코딩테스트
- 자기상관
- by oneself
- 엑셀
- 다중공선성
- post man
- 전처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5)
excelsu의 공부 기록 블로그
be distributed 배포되다 contain 포함하다 specific 특정한(것) specify 지정하다, 열거하다, 기입하다 implicitly 암묵적으로 explicitly 명시적으로 Ensure 보장하다 either 어느 하나, ...도 또한 unset 설정해제 executed 실행하는 완성하는 expected 예상되는
오류까지는 아니고 회귀분석을 돌리다보면 Residials 밑에 Coefficients항목이 나오는데 거기에서 ~not defined because of singularities이런 오류가 나온다면 아래 변수들 중에 NA표시가 되어있고 계산이 안된 변수들이 숫자 만큼 있을것이다. 이는 변수들간 다중공선성이 의심되는 변수들을 제거한것으로 회귀분석을 돌리기 전 더미변수들중 하나를 빼보거나(n-1) vif, cor를 통해서 다중공선성 검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체크해보고 제거하고 돌리면 된다.
데이터에 na값없도록하여라~~ data = na.omit(data) #na.action = na.omit추가

이미지 참조 : https://m.blog.naver.com/leedk1110/220775742538 첫째그림 : 잔차vs적합도(잔차산점도)->등분산성확인 (특정 패턴없을시), 선형성 확인(흩어진 형태 무작위,상하 대칭) 둘째그림 : qq-plot -> 정규성확인(대각선 상에 데이터들 존재) 셋째그림 : 표준화 잔차vs적합도->이상치 확인 (기울기0) 넷째그림 : 표준화 잔차vs레버리지-> 레버리지가 1에 가까울수록 이상치, cook's distance 넘어가는데이터 관리
회귀분석을 진행하다가 lm(rawdata$qwe~., data=rawdata) 를 실행했는데 contrasts can be applied only to factors with 2 or more levels 오류가 떴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한컬럼의 데이터가 전부 같을때 발생한다. 전부 같은데이터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values_count 1]) 으로 확인해 보면 된다. 그래도 해결이 안된다면 na값이 있을때 발생하는 오류이기때문에 na값을 채워주거나 행을 삭제하고 실행하면 된다.. 참고 : https://statisticsglobe.com/r-error-contrasts-applied-to-factors-with-more-levels R Error: contrasts can be applied o..
That's so gross 그거 정말 역겨워 워홀을 할때 주방에서 일을 했었다. 일을 하다보면 음식물 쓰레기나 설거지 등등 역겨운 상황이 생긴다. 처음 일을 시작할때 그런 상황에서 코워커들이 설명하기를 That's so gross라는 말을 정말 많이쓴다. 보통 역겹다는말을 disgusting으로 알고 있기때문에 되게 신선(?)하게 들린다. 약간 한국어로 치면 "극혐"정도로 들린다. 디스거스팅보다 발음이편해서 나도 자주 쓰게 되는 단어였다. 아니나다를까 찾아보니까 어른들보다는 애들이 많이 쓰는 단어이고 약간 슬랭에 가깝다고 한다. 주의해야할점은 gross는 총(전체)의 의미도 갖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용법이 달라서 헷갈릴 일은 없을듯
캐나다에서 살다보면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는데 길거리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이 내가 입은 옷을 보고 I like your shirt 라고 하는 것이다. 직역하자면 "난 니셔츠가 좋아" 이기때문에 곰곰히 생각해보면 조금 이상하지만(모르는 사람이 내 옷이 좋다는게 옷을 달라는건가? 뭐어쩌란건가 싶다.) 이 얘기를 들으면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이사람은 나를 칭찬하는것이라는것을... 의역하면 "옷 멋있네~"쯤 될거같다. 옷얘기 말고도 길지나가다 눈마주치면 무슨얘기라도 하는것같다 ㅋㅋ 그래서 큰의미를 두고 하는말같지는 않다. 별거 아니지만 언어를 사용하는 생각의 차이쯤 되는것 같아서 적어놔 본다. 다른사람들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나는 롱패딩을 입고있을때 "I like your coat" 말을 정말 많이 들은거 같..
Are you here by yourself? 여기 혼자오셨어요? 캐나다에서 워킹 홀리데이를 하면서 제일 기억에 남는 표현중 하나가 by oneself이다. 보통 처음 현지인들과 얘기를 할때 "너 여기 혼자왔어?"라는 질문을 많이 하는데 영어를 잘하지않는 내 입장에서는 "Are you here alone?" 이 가장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생각했었는데 실제로 가장 많이 들은문장은 "Are you here by yourself?"이다 처음 이 문장을 들을때 by oneself라는 표현이 익숙하지 않아서 yourself가 나온다고? 해서 너 스스로 준비해서 온거냐? 이런식으로 알아들었었다. oneself는 한국사람들에게 아주 익숙할것 같다 보통 혼자힘으로, 스스로 등의 의미를 갖는다. 이후 by oneself가..